CONTENTS
- 1. 부산법률사무소의 의뢰인 사연
- 2. 부산법률사무소가 알려주는 사건 관련 지식
- 3. 부산법률사무소의 의뢰인 조력
- - 부산법률사무소의 변호 | 해고사유의 정당함
- - 부산법률사무소의 변호 | 회사의 사전 교육
- 4. 부산법률사무소의 조력 결과
1. 부산법률사무소의 의뢰인 사연
부산법률사무소를 찾아온 의뢰인의 사연입니다.
의뢰인은 운송관련 사업을 운영 중인 회사의 대표입니다.
어느 날 한 직원이 음주운전범죄를 저질러 경찰에 입건 되었고, 이후 벌금형과 함께 면허정지라는 처벌을 받았다고 하는데요.
의뢰인의 회사 인사내규에 따르면 음주운전으로 인해 면허정지 처분을 받을 시 해고의 대상이 된다는 규정이 있고, 의뢰인은 그에 따라 해당 근로자를 해고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해당 근로자가 면허정지처분 이후 운전직이 아닌 다른 직무로 부서 이동을 요청했다며, 이를 근거로 부당해고구제신청을 했다고 하는데요.
이에 의뢰인은 법적 자문을 받아 해결하기 위해 부산법률사무소를 찾아왔습니다.
2. 부산법률사무소가 알려주는 사건 관련 지식
부산법률사무소의 의뢰인처럼 회사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근로자를 해고할 때, 법률적으로 정당한 사유를 갖추지 못한 다면 🔗부당해고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부당해고가 성립하는 경우는 아래과 같습니다.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제한 요건을 갖추지 않은 경우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등에서 정하고 있는 특정한 해고 금지 사유를 위반해 해고한 경우
▶해고할 만한 사유가 아님에도 징계 양정을 과도하게 해서 해고한 경우
▶법령 또는 단체협약·취업규칙에서 정한 해고절차를 위반해 해고한 경우
▶해고할 수 없는 시기에 해고를 한 경우
만약 정당한 사유 없이 근로자를 해고했다면 지역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구제신청을 할 수 있고, 부당해고가 인정된다면 해고가 취소될 수 있는데요.
이후 정당한 해고로 승인된다면 근로자가 이에 불복해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신청을 하거나 행정소송을 진행하는 등 🔗부당해고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렇게 근로자와 회사 사이에서 해고과 관련된 법적 다툼이 발생했을 경우 그 사유의 정당성과 절차적 유효성을 다투기 위해서 노동전문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부산법률사무소의 의뢰인 조력
부산법률사무소는 의뢰인의 해고과정에 절차적 문제는 없었는지 노무사와의 협력을 통해 법률적인 쟁점을 상세하게 파악해 아래와 같이 주장했습니다.
부산법률사무소의 변호 | 해고사유의 정당함
의뢰인의 회사의 인사내규에는 운전직 직무 근로자의 경우 음주운전 등으로 인해 면허가 정지될 경우 즉시 해고될 수 있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부산법률사무소는 해당 근로자의 해고사유에 명확한 근거가 있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부산법률사무소의 변호 | 회사의 사전 교육
의뢰인의 회사에서는 정기적으로 음주운전, 교통사고 등에 대한 예방교육을 실시하며 이런 사고로 인해 면허정지나 형사처벌을 받는다면 해고사유에 해당한다는 점을 교육했습니다.
해당 근로자는 정기적으로 이런 내용의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음주운전을 저질러 면허정지처분을 받은 것인데요.
부산법률사무소는 해당 근로자의 해고처분이 사전 교육에도 고지되어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4. 부산법률사무소의 조력 결과
부산법률사무소의 주장을 받아들인 노동위원회는 의뢰인의 해고가 부당하지 않다고 인정하며 “이 사건 근로자의 신청을 기각한다”라고 판결 내렸습니다.
이렇게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노동, 해고에 관련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그 사유와 절차의 과정이 모두 정당하고 적절했는지가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법적분쟁이 일어났다면 그 법률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그에 따른 명확한 근거가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이에 대한 전반적인 판단과 준비를 위해서는 관련 분야에 전문성을 지니고 있는 🔗노동전문변호사에게 조력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사한 일로 고민이라면 🔗노동전문변호사 법률상담예약을 통해 사전검토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