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처벌법 살펴보자면 정해진 기준을 충족할 경우, 기존에 다른 업무를 하던 직원이 안전보건담당자 업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안무래도 안전보건업무만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전문성이 부족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이런 경우 안전 및 보건 확보 체계에 구멍이 발생하기 쉽고, 이 구멍이 원인이 되어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커지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중소기업 측에서는 이번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에 맞추어 안전 및 보건 확보 체계의 빈틈을 메울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강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한 컨설팅이나 이로 인한 법적 분쟁 설루션 등을 다각도로 제공하며 꾸준히 조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게 관련한 컨설팅이나 설루션을 맡겨주신다면 실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그간 법적 의무를 다했다는 점을 입증하시어 불필요한 책임을 면하실 수 있도록 바로 옆에서 적극 도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