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사고가 일어났을 때 사업주는 진료비, 간호 비용, 휴업급여, 위자료 등등을 보상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또한 만약 직원이 업무 중 피해를 입게 된 원인이 회사의 불법행위, 즉 ‘과실’로 인한 것이라면 민사상의 책임도 따를 수 있기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만약 사고가 직원의 과실로 문제가 벌어진 것이 분명하고 회사 측에선 현재까지 주의 의무를 계속해서 지키고 있었다는 점을 증명해 낸다면 보상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해당 의무를 지키지 아니하였거나 과실이 존재한다 판단되는 경우라면 하루빨리 변론 준비와 증거 자료 수집으로 산재 손해배상청구 방어 전략을 마련하여 적극 대응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산재처리 도중 소송을 걸겠다는 직원에 말에 굉장히 당황스러운 상황에 처해 계실 마음 이해합니다. 그러나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것과 민사소송 진행은 별개가 맞기 때문에 하루빨리 광주산재변호사 선임을 통해 대응을 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현재는 의문과 고민보단 해결이 앞서야 하는 상황인 만큼, '광주산재전문변호사'인 저와 사건 해결 골든타임이 지나기 전에 저와 함께 전략을 세워 대응해 보시길 바랍니다. 아무런 준비가 되어있지 않더라도 완벽한 조력자만 만날 수 있다면, 사건 해결은 생각보다 쉬워질 수 있습니다.